[백준] 17103 - 골드바흐 파티션
[백준] 17103 - 골드바흐 파티션

[백준] 17103 - 골드바흐 파티션

언어
Python
C
난이도
Sliver 2
다시 풀어보기
다시 풀어보기
알고리즘 유형
작성자
박용성박용성
생성 일시
2024년 09월 21일

🖥️ 시작하며

짝수 N을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표현을 골드바흐 파티션이라고 한다. 짝수 N이 주어졌을 때, 골드바흐 파티션의 개수를 구해보자. 두 소수의 순서만 다른 것은 같은 파티션이다.
 
문제 조건에서 제한시간이 0.5초인 것을 봤을 때,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면 시간 초과가 날 수 있는 문제다. 일일이 소수 판정 후 골드바흐의 추측을 판정할 시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,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자.
 

💡 에라토스테네스의 체

에라토스테네스는 소수를 찾기 위해 소수를 찾는게 아닌 합성수를 제거하는 방식이다. 보통은 N을 입력받으면 2부터 N까지의 수 중 합성수를 제거하는 식으로 시작한다. 핵심 코드를 보자.
// 에라토스테네스의 체, N까지의 소수를 찾음 bool* Eratosthenes(int n) { bool* primes = (bool*)calloc(n + 1, sizeof(bool)); for (int i = 2; i <= n; i++) { primes[i] = true; } for (int i = 2; i <= sqrt(n); i++) { if (primes[i]) { for (int j = i * i; j <= n; j += i) { primes[j] = false; } } } return primes; }
# 에라토스테네스의 체, N까지의 소수를 찾음 def Eratosthenes(n): primes = [True] * (n + 1) primes[0] = primes[1] = False for i in range(2, int(n**0.5) + 1): if primes[i]: primes[i * i :: i] = [False] * len(primes[i * i :: i]) return primes
각각 C와 Python으로 구현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다. 핵심 로직은 같다. 자세한 설명은 유튜브를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.
 
line by line으로 살펴보자.
primes = [True] * (n + 1)
N + 1 개의 bool 형 리스트를 생성한다. 우선 모두 소수라고 판정하기 위해 True로 세팅한다.
 
primes[0] = primes[1] = False
선제 조건으로 0과 1은 소수가 아니므로 거짓 처리한다.
 
for i in range(2, int(n**0.5) + 1):
2부터 N 의 제곱근 + 1까지 반복한다. 여기서 제곱근까지인 이유는, 어차피 제곱근의 수에서 N까지가 합성수로 판별되어 알아서 지워지기 때문이다.
 
if primes[i]: primes[i * i :: i] = [False] * len(primes[i * i :: i])
만약 primes[i]True 라면, 즉 이전 단계에서 지워지지 않았고, 이는 즉 소수라는 말이니 해당 수의 배수들을 모두 False로 바꾼다. 예를 들어 i 가 2라면 2, 4, 6, 8 … 모두 지워진다.
그 아래 코드는 파이썬의 슬라이싱 기법을 이용한 코드인데, 약간 복잡하다. 결국에는 C의 코드와 같은 일을 한다. primes 배열의 i * i 부터 i 만큼 띄워진 부분들을 모두 False 로 만든다는 말이다.
 
이렇게 소수를 모두 구했다면 다음은 간단하다.
 

⚙️ 코드

#include <stdio.h> #include <stdlib.h> #include <stdbool.h> #include <math.h> // 에라토스테네스의 체, N까지의 소수를 찾음 bool* Eratosthenes(int n) { bool* primes = (bool*)calloc(n + 1, sizeof(bool)); for (int i = 2; i <= n; i++) { primes[i] = true; } for (int i = 2; i <= sqrt(n); i++) { if (primes[i]) { for (int j = i * i; j <= n; j += i) { primes[j] = false; } } } return primes; } int Solution(int n) { // 선제조건 if (n <= 2 || n % 2 != 0) { return 0; } // 소수 구하기 bool* primes = Eratosthenes(n); int count = 0; // 소수끼리의 합이라면 정답처리 for (int i = 2; i <= n / 2; i++) { if (primes[i] && primes[n - i]) { count++; } } free(primes); return count; } int main() { int T, N; scanf("%d", &T); for (int i = 0; i < T; i++) { scanf("%d", &N); printf("%d\n", Solution(N)); } return 0; }
# 에라토스테네스의 체, N까지의 소수를 찾음 def Eratosthenes(n): primes = [True] * (n + 1) primes[0] = primes[1] = False for i in range(2, int(n**0.5) + 1): if primes[i]: primes[i * i :: i] = [False] * len(primes[i * i :: i]) return primes def Solution(n): # 선제조건 if n <= 2 or n % 2 != 0: return 0 # 소수 구하기 primes = Eratosthenes(n) count = 0 # 소수끼리의 합이라면 정답처리 for i in range(2, n // 2 + 1): if primes[i] and primes[n - i]: count += 1 return count if __name__ == "__main__": import sys T = int(sys.stdin.readline()) for i in range(T):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print(Solution(N))
 

📌 소감

 

댓글

guest